프리마 카테고리아 1910-1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0-11 시즌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최한 14번째 이탈리아 축구 리그로, 북서부 대회와 에밀리아-베네토 대회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북서부 대회에서는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을 차지했고, 에밀리아-베네토 대회에서는 비첸차가 우승했다. 결승전에서 프로 베르첼리는 비첸차를 5-1로 꺾고 최종 우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축구단 - 잔프랑코 졸라
잔프랑코 졸라는 나폴리, 파르마, 첼시에서 활약하며 다수의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하고 뛰어난 기술과 창의적인 플레이로 첼시 팬 선정 역대 최고의 선수 및 이탈리아와 영국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팀의 감독과 코치를 역임한 이탈리아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 이탈리아의 축구단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 세리에 A 시즌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 세리에 A 시즌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3-14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3-14는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이탈리아 축구 리그의 시즌으로, 북부와 남부 리그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카살레가 라치오를 꺾고 우승했으나, 리그 운영과 강등 제도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0-11 | |
---|---|
시즌 정보 | |
대회 | 프리마 카테고리아 |
시즌 | 1910-1911 |
횟수 | 14회 |
주관 | FIGC |
날짜 | 부터 까지 |
참가 팀 수 | 13구단 |
총 경기 수 | 86경기 |
총 골 수 | 30골 (경기당 3.53골) |
시즌 결과 | |
우승 팀 | (3번째 우승) |
강등 팀 | 해당 사항 없음 (강등 팀 정보 없음) |
최다 득점자 | 해당 사항 없음 (최다 득점자 정보 없음) |
관련 시즌 | |
이전 시즌 | 1909-10 |
다음 시즌 | 1911-12 |
2. 시즌
이탈리아 축구 연맹(FIGC)이 주최한 열네 번째 이탈리아 축구 리그이다.
2. 1. 소식
이탈리아 축구 연맹(FIGC)에서 주최한 열네 번째 이탈리아 축구 리그이다.2. 1. 1. 변화
1910년 연방의 결정에 따라 아우소니아 구단이 불참했다.[2] 피에몬테 FC가 지난 시즌 성적이 좋지 않았던 아우소니아를 대신하여 세 번째 토리노 연고 구단으로 승격하였다.[1]2. 1. 2. 대회 확장
1910년 이탈리아 축구 연맹(FIGC)은 엘라스 베로나, 베네치아, 비첸차를 포함한 베네토 지방의 세 구단과 볼로냐의 가입 신청을 승인하며 리그 영역을 확장했다. 그러나 경기 장소까지의 긴 이동 거리로 인한 보급 및 재정적 문제가 제기되었고, 이들 구단이 토리노, 밀라노, 제노바 소재 구단과의 친선 경기에서 크게 패배하면서 리그 적응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이에 연맹은 이들 구단을 별도의 "에밀리아-베네토 대회"로 편성하고, 이 대회의 우승 구단이 북서부 대회의 우승 구단과 결승전을 치르도록 했다. 연맹 규정 제6조에 따라, 첫 번째 대회(북서부 이탈리아) 우승 구단에게는 코페 챌린지 컵을 수여하고 국내 타이틀을 부여했다. 두 번째 대회(북동부 이탈리아)가 프리마 카테고리아에 도입됨에 따라, 북서부 대회 우승 구단은 북동부 챔피언과 국내 타이틀 방어전을 치르게 되었다.[2]
1911년 강설로 인해 한 라운드가 통째로 연기되어 시즌 운영에 차질이 발생했으며,[3] 일부 선수들의 비합법적인 선수 등록으로 인해 몰수 경기가 발생했다.[4]
2. 2. 구성
Regionale|한국어 발음 표기=레조날레it로 나눠진 두 개의 대회 후, 결승전으로 진행됐다.[5] 북서부 대회와 에밀리아-베네토 대회로 나뉘어 진행된 후, 각 대회의 우승팀이 결승전을 치르는 방식이었다.
2. 3. 대회
지난 시즌의 논란에 휩싸인 결과에 시달린 프로 베르첼리는 더욱 자신을 채찍질했고, 다시 우승을 거두었다.[5] 인테르는 힘 빠진 모습을 보이며 매우 실망스러운 결과를 남겼다.[5] 프로 베르첼리에 비견할 만한 상대는 벨기에 국적의 공격수 루이 판 헤허의 득점이 이끄는 밀란뿐이었다.[5] 하지만 밀라네세와 안드레아 도리아와 붙은 홈경기 패배에 발목을 잡히면서 프로 베르첼리를 더 이상 위협하지 못했고, 프로 베르첼리는 동부 대회의 대표인 비첸차를 큰 어려움 없이 이겼다.[5] 당시 언론은 비첸차와 두 번의 결정전이 열리기 전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프로 베르첼리를 챔피언으로 불렀다.[5]3. 북서부 대회 (캄피오나토 노르도치텐탈레)
북서부 대회(이탈리아어: 캄피오나토 노르도치텐탈레)는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0-11 시즌의 예선 대회 중 하나였다.
3. 1. 참가 구단
구단 | 도시 | 홈 경기장 | 지난 시즌 |
---|---|---|---|
안드레아 도리아 | 제노바 | 캄포 스포르티보 델라 카옌나 | |
제노아 | 제노바 | 캄포 스포르티보 디 산 고타르도 |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4위 |
인터 밀란 | 밀라노 | 캄포 디 리파 티치네세 |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1위 |
유벤투스 | 토리노 | 스타디오 디 코르소 세바스토폴리 |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3위 |
밀란 | 밀라노 | 캄포 밀란 디 포르타 몬포르테, 아레나 치비카 |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6위 |
피에몬테 | 토리노 | 세콘다 카테고리아 피에몬테 조 2위 | |
프로 베르첼리 | 베르첼리 | 캄포 피아찰레 콘테 디 토리노 | |
토리노 | 토리노 | 캄포 디 피아차 다르미 |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4위 |
US 밀라네세 | 밀라노 | 캄포 디 비아 스텔비오 |
품질 위원회는 세 번째 토리노 클럽인 피에몬테 FC를 승인했다.[1]
3. 2. 최종 순위
순위 | 구단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
1 | 프로 베르첼리 | 27 | 16 | 12 | 3 | 1 | 44 | 8 | +36 |
2 | 밀란 | 22 | 16 | 10 | 2 | 4 | 44 | 19 | +25 |
3 | 토리노 | 18 | 16 | 9 | 0 | 7 | 33 | 27 | +6 |
4 | 안드레아 도리아 | 16 | 16 | 8 | 0 | 8 | 28 | 30 | -2 |
5 | 제노아 | 14 | 16 | 7 | 0 | 9 | 22 | 27 | -5 |
6 | 인테르 | 13 | 16 | 6 | 1 | 9 | 24 | 31 | -7 |
7 | 피에몬테 | 12 | 16 | 4 | 4 | 8 | 21 | 35 | -14 |
8 | US 밀라네세 | 12 | 16 | 6 | 0 | 10 | 19 | 45 | -26 |
9 | 유벤투스 | 10 | 16 | 3 | 4 | 9 | 16 | 29 | -13 |
- 승리 시 2점, 무승부 1점, 패배 시 0점이 주어진다.
- 동일 승점은 동일 순위이다.
- '''캄피오네 디탈리아 (이탈리아 챔피언)'''는 프로 베르첼리이다.
3. 3. 우승 주역
wikitext포메이션 (2-3-5) | 선수 (포지션) |
---|---|
-- | Giovanni Innocenti|조반니 인노첸티it |
안젤로 비나스키 | |
보솔라 1세 | |
모데스토 발레 | |
구이도 아라 | |
주세페 밀라노 1세 | |
피에트로 레오네 1세 | |
펠리체 밀라노 2세 | |
피에트로 페라로 1세 | |
카를로 람피니 1세 | |
카를로 코르나 1세 |
3. 4. 경기 결과
구단 | US 밀라네세 | 밀란 | 안드레아 도리아 | 유벤투스 | 인테르 | 제노아 | 토리노 | 프로 베르첼리 | 피에몬테 |
---|---|---|---|---|---|---|---|---|---|
US 밀라네세 | 3-6 | 0-3 | 4-1 | 0-4 | 1-0 | 1-0 | 0-5 | 3-2 | |
밀란 | 0-2 | 0-1 | 3-0 | 6-3 | 2-0 | 5-2 | 0-0 | 7-1 | |
안드레아 도리아 | 3-0 | 1-7 | 0-2 | 3-0 | 2-3 | 3-2 | 0-2 | 3-1 | |
유벤투스 | 0-1 | 0-2 | 4-2 | 0-2 | 4-0 | 1-3 | 0-4 | 1-1 | |
인테르 | 5-1 | 0-2 | 1-2 | 1-1 | 0-3 | 0-1 | 0-3 | 4-2 | |
제노아 | 3-1 | 0-3 | 1-2 | 3-0 | 1-0 | 1-2 | 0-1 | 0-1 | |
토리노 | 5-0 | 5-1 | 2-1 | 2-1 | 0-1 | 1-5 | 2-0 | 4-2 | |
프로 베르첼리 | 7-2 | 1-0 | 3-1 | 0-0 | 4-0 | 6-0 | 3-1 | 3-0 | |
피에몬테 | 1-0 | 0-0 | 2-1 | 1-1 | 2-3 | 1-2 | 2-1 | 2-2 |
3. 5. 기록
기록 | 내용 |
---|---|
최다 승리 | 프로 베르첼리 (12승) |
최소 패배 | 프로 베르첼리 (1패) |
최다 득점 | 밀란, 프로 베르첼리 (44득점) |
최소 실점 | 프로 베르첼리 (8실점) |
최고 득점율 | 프로 베르첼리 (5.5) |
최다 무승부 | 유벤투스, 피에몬테 (4무) |
최소 승리 | 유벤투스 (3승) |
최다 패배 | US 밀라네세 (10패) |
최소 득점 | 유벤투스 (16득점) |
최다 실점 | US 밀라네세 (45실점) |
최저 득점율 | US 밀라네세 (0.4) |
4. 에밀리아-베네토 대회 (캄피오나토 에밀리아노-베네토)
캄피오나토 에밀리아노-베네토it이다.
4. 1. 참가 구단
구단 | 도시 | 지난 시즌 |
---|---|---|
볼로냐 | 볼로냐 | 테르차 카테고리아 에밀리아노 대회 1위 |
엘라스 베로나 | 베로나 | 첫 참가 |
베네치아 | 베네치아 | 세콘다 카테고리아 베네토 대회 2위 |
비첸차 | 비첸차 | 세콘다 카테고리아 베네토 대회 1위 |
4. 2. 최종 순위
- 비첸차는 6전 전승(승점 12점)으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 승리 시 2점, 무승부 1점, 패배 시 0점이 주어지며, 동일 승점일 경우 동일 순위로 처리된다.
4. 3. 경기 결과
wikitext
5. 결승전
프로 베르첼리가 비첸차를 1, 2차전 합계 5-1 (3-0, 2-1)로 꺾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1][2]
1차전은 1911년 6월 11일 베르첼리에서 열렸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밀라노 II의 4분 골, 람피니의 23분, 60분 골에 힘입어 3-0으로 승리했다. 심판은 밀라노의 G. 가마가 맡았다.
2차전은 1911년 6월 18일 비첸차의 캄포 디 보르고 카살레에서 열렸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페라로의 30분 골, 피아코의 골로 치스카토가 15분에 골을 넣은 비첸차를 2-1로 꺾었다. 심판은 밀라노의 메아차가 맡았다.
참조
[1]
문서
Libertas F.C. refused to join the championship, leaving incomplete the FIGC’s desired top-ten format
[2]
뉴스
L'inzio del Campionato italiao
http://www.archiviol[...]
La Stampa
1910-11-26
[3]
뉴스
Giuoco del Calcio
http://www.digibess.[...]
1911-06-18
[4]
문서
1909년 8월 23일 밀라노에서 "레투라 스포르티바"가 출판한 "대회 규정", FIGC가 밀라노에서 출판한 "아추리 1990"에 따르면 11항 "...만약 분류되지(= 등록되지 않은) 선수로 리그 경기에서 승리한 구단은 승점 2점을 박탈당하고, 상대 구단이 1-0으로 이긴 것으로 한다."
[5]
뉴스
La Pro Vercelli vince tutti e tre i campionati italiani
http://www.digibess.[...]
1911-06-11
[6]
문서
베네토-에밀리아노 지역 위원회에서 1-2로 진행된 비첸차-베네치아 경기를 취소하고 점수를 결정했다.
[7]
문서
베네토-에밀리아노 지역 위원회에서 2-2로 진행된 베네치아-엘라스 경기를 취소하고 점수를 결정했다.
[8]
문서
당시 신문에 몰수경기로 기록됐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